거창군 사전투표소를 찾고 있나요? 21대 대통령 사전투표는 투표당일에 투표가 어려운 유권자들이 별도 신고 없이 어느지역에서도 투표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글에서는 21대 대통령 사전선거 준비물, 사전투표소 위치, 투표절차, 주의사항 및 궁금한 점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바쁘신분들은 아래 링크로 가까운 투표소를 확인하세요.
21대 대통령 사전선거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관의 만장일치로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으로 21대 대통령선거가 2025년 6월 3일에 치러집니다. 사전투표는 선거 당일 투표가 어려운 경우 사전투표 기간에 별도의 신고없이 투표를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선거 당일 6월3일은 임시공유일로 지정되며, 투표에 참여하려는 유권자는 꼭 투표전 신분증을 지참하여 투표소에 방문해야 합니다.
만 18세 이상의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증, 공무원증, 국가자격증(산업인력공단), 네이버자격증, 카카오지갑, PASS, 학교 학생증 및 모바일 신분증 등
✅앱 신분증의 경우 실행과정 및 사진·성명·생년월일을 확인하며, 화면 캡쳐 등을 통한 이미지 파일은 사용이 불가합니다.
거창군 21대 대통령 사전투표 절차
사전투표절차는 관내 선거인과 관외선거인으로 나뉘며 절차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구분 | 내용 |
---|---|
관내선거인 | 1. 관할지역 내 주소 2. 신분증 확인 3. 투표용지 수령 4. 기표 5. 투표함에 투입 |
관외선거인 | 1. 관할지역 외 주소 2. 신분증 확인 3. 투표용지·봉투 수령 4. 기표 후 봉투에 넣음 5. 투표함에 투입 |
관내선거인은 주소가 투표소 관할 내에 있어 바로 투표 가능하고, 관외선거인은 외 지역 주소로 봉투에 넣어 투표해야 합니다.
거창군 사전투표소 찾기
구분 | 내용 |
---|---|
사전 투표 | 2025년 5월 29일(목)~30일(금) 오전 6시 ~ 오후 6시 |
당일 투표 | 2025년 6월 3일(화) 오전 6시 ~ 오후 8시 |
거창군 21 대통령 선거 투표소는 주민등록지 기준으로 읍·면·동별 행정복지센터, 주민센터, 공공기관, 학교 등에 설치됩니다. 주요 KTX, 기차역 및 공항 등 교통 요지엔 사전투표소도 마련됩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안내문, 1390 전화로 투표소 확인이 가능합니다.
사전투표 주의사항
1. 신분증 꼭 지참하세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공적인 신분증이 없으면 투표할 수 없습니다.
2. 기표소 안에서 촬영하면 안 됩니다
투표지나 투표하는 모습을 사진이나 영상으로 찍으면 불법입니다. 최대 2년 이하 징역 또는 400만원 이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3. 제공된 기표도구만 사용하세요
투표소에서 주어진 도장을 이용해야 하며, 개인이 가져온 펜이나 기타 필기도구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4. 투표소 위치 혼동 주의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든 가능하지만, 본투표는 지정된 장소에서만 참여할 수 있습니다.
5. 인증샷은 정해진 장소에서만 가능
사전투표는 벽보나 표지판 앞에서 인증사진 촬영이 가능하지만, 본투표 날에는 인증샷 촬영이 허용되지 않습니다.
거창군 사전투표 FAQ
1. 사전투표는 꼭 내 집 근처에서 해야 하나요?
그렇지 않습니다.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에 있는 사전투표소에서든 참여할 수 있습니다. 주소지 안에서 투표하면 ‘관내선거인’, 다른 지역에서 하면 ‘관외선거인’으로 구분되며, 관외선거인은 투표지를 봉투에 넣어 회송하는 절차가 따릅니다.
2. 사전투표소는 어떻게 찾을 수 있나요?
다음 방법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내 ‘내 투표소 찾기’ 이용
- 집으로 보내진 투표 안내문 참고
- 1390번 선관위 전화로 안내 받기 (자동응답 포함)
3. 사전투표 했는데 다시 할 수 있나요?
불가능합니다. 사전투표든 본투표든 1인 1회만 가능하며, 이미 한 번 투표했다면 다시 투표할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거창군 거창읍, 주상면, 웅양면, 고제면, 북상면, 위천면, 마리면, 남상면, 남하면, 신원면, 가조면, 가북면 21대 대통령 투표소를 살펴보았는데요. 궁금한 사항은 댓글로 알려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