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군 사전투표소를 찾고 있나요? 21대 대통령 사전투표는 투표당일에 투표가 어려운 유권자들이 별도 신고 없이 어느지역에서도 투표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글에서는 21대 대통령 사전선거 준비물, 사전투표소 위치, 투표절차, 주의사항 및 궁금한 점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바쁘신분들은 아래 링크로 가까운 투표소를 확인하세요.
21대 대통령 사전선거
2025년 4월 4일 헌법재판관의 만장일치로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으로 21대 대통령선거가 2025년 6월 3일에 치러집니다. 사전투표는 선거 당일 투표가 어려운 경우 사전투표 기간에 별도의 신고없이 투표를 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선거 당일 6월3일은 임시공유일로 지정되며, 투표에 참여하려는 유권자는 꼭 투표전 신분증을 지참하여 투표소에 방문해야 합니다.
만 18세 이상의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증, 공무원증, 국가자격증(산업인력공단), 네이버자격증, 카카오지갑, PASS, 학교 학생증 및 모바일 신분증 등
✅앱 신분증의 경우 실행과정 및 사진·성명·생년월일을 확인하며, 화면 캡쳐 등을 통한 이미지 파일은 사용이 불가합니다.
하동군 21대 대통령 사전투표 절차
사전투표절차는 관내 선거인과 관외선거인으로 나뉘며 절차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구분 | 내용 |
---|---|
관내선거인 | 1. 관할지역 내 주소 2. 신분증 확인 3. 투표용지 수령 4. 기표 5. 투표함에 투입 |
관외선거인 | 1. 관할지역 외 주소 2. 신분증 확인 3. 투표용지·봉투 수령 4. 기표 후 봉투에 넣음 5. 투표함에 투입 |
관내선거인은 주소가 투표소 관할 내에 있어 바로 투표 가능하고, 관외선거인은 외 지역 주소로 봉투에 넣어 투표해야 합니다.
하동군 사전투표소 찾기
구분 | 내용 |
---|---|
사전 투표 | 2025년 5월 29일(목)~30일(금) 오전 6시 ~ 오후 6시 |
당일 투표 | 2025년 6월 3일(화) 오전 6시 ~ 오후 8시 |
하동군 21 대통령 선거 투표소는 주민등록지 기준으로 읍·면·동별 행정복지센터, 주민센터, 공공기관, 학교 등에 설치됩니다. 주요 KTX, 기차역 및 공항 등 교통 요지엔 사전투표소도 마련됩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안내문, 1390 전화로 투표소 확인이 가능합니다.
사전투표 주의사항
1. 신분증 꼭 챙기세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공적인 신분증 없이는 투표할 수 없습니다.
2. 기표소 안에서 촬영하면 안 됩니다
투표지를 찍거나 기표하는 장면을 사진이나 영상으로 남기면 법 위반입니다.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최대 400만 원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3. 제공된 도구만 사용해야 합니다
투표할 때는 반드시 투표소에서 제공하는 기표도구만 써야 하며, 개인이 가져온 펜이나 연필은 사용이 금지됩니다.
4. 투표소 위치 헷갈리지 마세요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서나 가능하지만, 본투표는 지정된 투표소에서만 참여할 수 있습니다.
5. 투표 인증 사진은 정해진 곳에서만
사전투표 때는 선거 벽보나 안내 표지판 앞에서 인증샷이 가능하지만, 본투표일에는 투표소 앞에서 사진을 찍는 것이 제한됩니다.
하동군 사전투표 FAQ
1. 사전투표는 꼭 주소지에서 해야 하나요?
아닙니다.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에 있는 사전투표소에서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자신의 주소지 안에서 투표하면 ‘관내선거인’, 주소지 바깥에서 투표하면 ‘관외선거인’으로 구분됩니다. 관외선거인은 투표 후 회송용 봉투에 넣는 절차가 있으며, 해당 봉투는 주소지의 선거관리위원회로 보내집니다.
2. 사전투표소는 어디에서 확인하나요?
다음 방법 중 하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내 투표소 찾기’ 메뉴
- 집으로 받은 선거안내문
- 선관위 대표번호 1390번 (자동안내 가능)
3. 사전투표 후 다시 투표할 수 있나요?
불가능합니다. 사전투표든 본투표든 단 한 번만 투표할 수 있으며, 사전투표 후에는 다시 투표할 수 없습니다.
지금까지 하동군 하동읍, 화개면, 악양면, 적량면, 횡천면, 고전면, 금남면, 진교면, 양보면, 북천면, 청암면, 옥종면, 금성면 21대 대통령 투표소를 살펴보았는데요. 궁금한 사항은 댓글로 알려주세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